껍질만 보지 말라. 안에 들어 있는 것을 보라. -탈무드 공자가 벼슬을 살았을 때 세 가지 형이 있었다. 즉 정도(正道)를 행할 만하다고 보고 벼슬을 산 견행가의 사관, 대우가 예로서 하기 때문에 벼슬을 산 제가(際可)의 사관, 군주가 현량한 인재를 길러 주어서 벼슬을 산 공양(公養)이 사관이다. 공자는 노(魯) 나라 계(季)환(桓)자(子)에게서는 정도를 행할 만한다고 보고 벼슬을 살고, 위(衛) 나라 영공(靈公)에게서는 예(禮)로 받아들여져서 벼슬을 살고, 위 나라 효공(孝公)에게서는 현량한 인재를 길러 주어서 벼슬을 살았다. -맹자 오늘의 영단어 - anti-development : 개발제한오늘의 영단어 - CB : convertible bond : 전환 사채오늘의 영단어 - APEC : Asia-Pacific Economic Cooperation : 아태경제협력기구오늘의 영단어 - ETS : the Educational Testing Service : 미교육평가원오늘의 영단어 - implementation : 시행, 실행, 실시화폐는 인간의 노동과 생존의 양도된 본질이다. 이 본질은 인간을 지배하며, 인간은 이것을 숭배한다. -마르크스 행하고 끝을 맺지 못하는 것은 수치이다. -관자 오늘의 영단어 - corresponding period : 같은 기간, 해당되는 기간